절기는 사주명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사주는 절기학이다. 양력과 절기로 따진다. 절기는 계절의 표준이고, 농사의 과정에 맞춰져 있다.
절기는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이 1년간 한 바퀴 도는 길, 즉 황도를 춘분부터 시작으로 해서 15도씩 24개로 나누어 놓은 것이다. 춘분이 0도, 청명이 15도, 곡우가 30도…, 한 바퀴 돌아서 경칩이 345도 다시 춘분이 360도, 즉 0도 제자리가 된다.
사주명리에서 한 해의 시작은 양력 1월 1일이나 음력 1월 1일이 아니라, 2월 3~4일경 입춘이다. 그때부터 봄의 출발인 인(寅)월이 시작된다. 즉, 명리학에서의 1월은 인월이다. 인월을 봄의 맹월(孟月)이라고 한다.
3월 4~5일경 경칩에 2월인 묘(卯)월로 바뀐다. 묘월은 봄의 중월(仲月)이라고 한다. 4월 4일경 청명에는 3월인 진(辰)월이 시작된다. 봄의 계월(季月)이라고 한다.
4월인 사(巳)월은 여름의 시작, 즉 여름의 맹월이고, 오(午)월은 여름의 중월, 미(未)월은 여름의 계월이라고 하는데, 맹월 중월 계월은 각각 계절의 첫 달, 두 번째 달, 마지막 달을 의미한다.
명리학은 농경시대의 문화적 배경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명리학을 이해하는 데 절기는 매우 중요하다. 사주팔자 해석에서 중요한 자연론 또는 계절론, 물상론도 절기의 흐름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절기와 절기에 따른 계절의 흐름을 이해해야 한다.
24절기는 12절기와 12중기로 나뉜다
24절기는 월의 시작인 12절기와 월 중간에 있는 12중기로 나뉜다.
인(寅)월의 시작은 입춘이다. 양력 2월 4일경으로 봄의 시작이다. 인월의 중기는 우수이다. 2월 19일경으로 비가 내리고 싹이 튼다.
묘(卯)월의 시작은 경칩으로 3월 5일경이다. 3월 20일경에는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춘분이다.
진(辰)월은 청명으로 시작한다. 4월 4일경으로 봄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이다. 진월의 중기는 곡우로 4월 19일경이고 이 즈음 비가 내린다. 진월에는 농사를 위해 물이 필요하다.
사(巳)월은 입하로 시작한다. 5월 5일경으로, 사월은 여름의 시작이다. 사월의 중기는 5월 20일경 소만이다.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된다.
오(午)월의 시작은 망종이다. 6월 5일경으로 벼, 보리 등의 씨를 뿌리는 시기이다. 중기는 하지로 6월 21일경이며, 낮이 가장 길다.
미(未)월은 소서로 시작한다. 7월 6일경이며 여름 더위의 시작이다. 7월 22일경은 중기 대서로 더위가 가장 심한 때이다. 이때 비가 오면 농사를 망친다.
신(申)월은 8월 7일경 입추로 시작한다. 가을의 시작이다. 신월의 중기는 처서로 8월 22일경이다. 이 즈음부터 일교차가 커지기 시작한다.
유(酉)월은 백로로 시작된다. 9월 7일경이다. 중기는 추분으로 9월 22일경이다. 밤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술(戌)월은 10월 8일경 한로로 시작한다. 찬 이슬이 내리는 때이다. 중기는 상강, 10월 23일경으로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
해(亥)월은 11월 7일경 한로로 시작한다. 겨울의 시작이다. 중기는 소설, 11월 22일경으로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때이다.
자(子)월은 대설로 시작한다. 12월 7일경으로 한겨울이다. 이 즈음 첫눈이 내린다. 자월의 중기는 동지이다. 12월 21일경이며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때이다.
축(丑)월은 가장 추운 시기이다. 1월 6일경 소한으로 시작한다. 중기 대한은 1월 20일경이며 가장 큰 추위가 찾아오는 때이다.
태어난 월이 놓이는 월지의 중요성
사주팔자 여덟 칸 중 월지에는 내가 태어난 월이 놓인다. 가령 내가 8월 15일에 태어났다면 8월 7일경 입추부터 신월에 접어들기 때문에 신(申)월생이다. 월지에 신(申)이 놓인다.
월지에 놓인 신금(申)은 사주팔자의 전체 흐름을 좌우한다. 우선 사주의 조후1와 기세2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한다. 그뿐 아니라 사주 주인이 살아가는 일생의 환경, 진로와 적성, 직업, 부모형제와의 관계 등이 모두 월지 신금의 영향을 받는다.
월지가 속한 월주는 대운의 흐름도 결정한다. 대운은 계절의 변화를 의미하고 10년마다 바뀌어 들어온다. 한 번 들어오면 10년씩 사주팔자에 관여한다. 사실, 사주는 사주팔자에 대운을 더해서 5개 기둥과 10개의 글자로 보는 것이다. 여기에 매년 들어오는 세운을 조합하여 그 시기 운명을 읽는다. 가을 신월에 태어난 사주가 여름 또는 봄 대운으로 가고 있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그만큼 생월은 중요하다. 사주팔자를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 조후 : 기후를 조절한다는 뜻으로, 사주의 날씨라고 쉽게 이해하면 된다.
(2) 기세 : 억부, 부억이라고도 하며, 사주팔자에서 각 오행의 강약왕쇠를 의미한다.
<상담문의 010-4648-5102>
*출처를 밝히지 않는 무단복제, 짜깁기는 저작권 신고합니다.
*네이버블로그 홍대사주명리연구원을 방문하시면, 좀 더 깊이 있고 흥미로운 사주명리에 관한 글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hong_saju
'명리학 기초 > 사주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통근과 투간의 통변 활용(원국의 통변과 대세운의 통변) (2) | 2025.05.29 |
---|---|
6. 통근과 투간에 대한 이해(천간의 세력 형성, 지지의 의지 표출) (0) | 2025.05.28 |
4. 천간과 지지에 대한 이해(성패와 길흉) (2) | 2025.05.16 |
3. 천간 지지 공부하기 전, 음양오행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 2025.05.15 |
2. 원형이정과 근묘화실로 살펴보는 사주 4개의 기둥에 대한 이해 (4) | 2025.05.14 |